2026 월드컵 예선, 무려 2년 1개월에 걸친 기나긴 여정인데요. 특히 오는 2026년 북중미 월드컵 부터는 참가국이 48개국으로 늘어나면서, 아시아 대륙의 본선 진출 티켓이 8+1로 증가 했습니다. 덕분에 1986년 멕시코 월드컵 부터 10개 대회 연속 월드컵에 진출한 대한민국은 앞으로 큰 이변이 없는 한, 앞으로 있을 모든 대회 본선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월드컵 본선 진출 국가 수가 8팀이나 되고, 플레이오프를 거치면 최대 9팀이 되는 건 너무 많은 것 같기도 한데요. 오는 2024년 파리 올림픽 티켓이 3+1인걸 감안하면, 이제는 월드컵 본선 진출이 훨씬 더 쉬운 일이 된 셈입니다.
기나긴 여정을 거쳐야 하는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일정, 그리고 형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선 진출 확정팀 정보는 아래 포스트에서 확인하세요.
최신 업데이트: 2024년 3월 26일
2026 월드컵 아시아 예선 일정 및 형식
Q: 월드컵 예선은 얼마나 오래 하는 건가요 ?
A: 2026 북중미 월드컵 일정 중 아시아 지역 예선 전체 기간은 2023년 10월 부터 2025년 11월까지로 약 25개월(2년 1개월)에 이르는 대 장정입니다.
2년동안 A매치 기간의 대부분을 월드컵 예선을 치룬다고 보시면 되고요. 4년마다 치뤄지는 중요한 다른 대회로는 아시안 컵이 있는데요. 월드컵 지역 예선은 2027 AFC 아시안컵 참가국을 정하는 지역 예선도 병행해서 치뤄집니다.
Q: 대한민국 대표팀은 언제부터 아시아 예선에 참가하나요 ?
A: 피파랭킹 기준 AFC 소속팀의 27위 부터 46위까지 20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치르고요, AFC 소속 1위~26위 팀은 2차 예선부터 진행합니다. 대한민국 역시 아시아 랭킹 4위로 2차 예선부터 시작합니다.
Q: 아시아 대륙에 배정된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진출 티켓은 몇장 인가요 ?
A: 이전 대회인 카타르 월드컵 까지는 5장이였는데, 북중미 월드컵 부터는 아시아 대륙의 본선 진출 티켓이 8+1로, 기본적으로 4팀이 더 진출하게 되었고요, 플레이오프를 치른 팀이 본선 진출까지 하게 된다면, 최대 9개 팀까지 진출이 가능합니다.
Q: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총 몇팀이 참가해서, 8개 팀을 뽑는 건가요 ?
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총 46개 팀이 참가합니다. 여기서 8개 팀을 뽑는 거니까요. 확률은 17% 정도이고, AFC 소속팀 중 피파랭킹 3번째로 높은 대한민국 대표팀은 월드컵 본선 진출이 안정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지금 치뤄지는 경기는 2차 예선이라던데. 한국은 1차 예선에는 참가 안했나요 ?
A: 피파랭킹 기준으로 AFC 소속팀만 다시 줄을 세우고, 여기서 27위~46위까지가 1차 예선을 먼저 치룹니다. 1위~26위까지 팀은 2차 예선부터 시작하고요. 대한민국도 2차 예선부터 합니다.
Q: 아시아 지역 예선은 몇차까지 해야 하나요 ?
A: 지역 예선에 참가한 총 46개 팀중 8개팀을 뽑을 때까지, 총 5차 지역 예선을 거치게 됩니다. 꽤 오래 하는 것 같죠 ?
사실은 3차 예선에서 대부분 결론이 납니다. 3차 예선에서 6팀을 선발하고요. 4차 예선에서 2팀을 추가 선발합니다. 5차 예선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팀을 선정하는 과정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3차 예선에서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따는 것이 제일 유리합니다. 즉, Top 6에 들어야 한다는 거죠.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진행 방식
1차 예선
- 홈&어웨이 방식
- 10개팀 선발
- 일정: 2023년 10월 12일~17일
AFC 소속팀 가운데 27위 부터 46위까지 20개의 팀이 홈&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뤄서, 승리한 10개 팀이 월드컵 2차 예선에 진출 합니다. 2023년 10월 12일-17일 사이에 1차 예선이 치뤄졌고요.
10개 팀(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싱가폴, 예멘, 미얀마, 파키스탄, 대만, 인도네시아, 홍콩, 네팔)이 2차 예선 진출을 확정했습니다.
2차 예선
- 조별리그 홈&어웨이 방식
- 36개팀, 9개 조편성 (각조 4팀)
- 상위 1위&2위팀→18개팀, 다음 라운드 진출
- 일정: 2023년 11월 16일~2024년 6월 11일
2차 예선은, 앞서 1차 예선에서 승리한 10팀과 함께 총 36개 팀이, 조별 리그를 펼칩니다. 한 조당 4팀으로 조편성이 되어 9개의 조가 만들어 집니다.
조별 리그는 홈&어웨이 방식으로 팀별로 6경기를 하게 되고요. 조 1위와 2위를 차지한 18개 팀이 3차 예선을 진출하게 됩니다. 3차 예선 진출팀은 <AFC 아시안컵 2027> 본선 진출 자격도 얻습니다.
3차 예선
- 조별리그 홈&어웨이 방식
- 18개팀, 3개 조편성 (각조 6팀)
- 조1위&2위, 6개팀→2026년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진출
- 조3&4위, 6개팀→다음 라운드 진출
- 일정: 2024년 9월 5일 ~ 2025년 6월 10일
18개 팀은 3개의 그룹으로 나눠서 홈&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룹니다.
3차 예선부터 월드컵 본선 진출팀이 나오는데요. 팀당 10경기를 치루고, 조 1위~2위를 한 6개팀은 2026년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따게 됩니다.
3~4위를 차지한 6개팀은, 남은 2.5장의 티켓을 두고 싸우기 위해 4차 예선으로 이동합니다.
4차 예선
- 조별리그, 중립국가에서 2경기씩
- 6개팀, 2개 조편성 (각조 3팀)
- 조1위, 2개팀→2026년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진출
- 조2위, 2개팀→다음 라운드 진출
- 일정: 2025년 10월
여기서부터는 쉽지 않습니다. 월드컵 본선 진출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죠.
4차 예선의 6개팀은 조당 3팀씩 2개 조로 편성되고, 중립국가에서 2경기씩을 치룹니다.
조1위 2개팀만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게 되고요.
조2위 팀은 남은 0.5장의 티켓을 두고 싸우기 위해, 5차 예선으로 이동합니다.
5차 예선
- 홈&어웨이
- 2개팀중 최후의 1팀 선정→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 일정: 2025년 11월
5차 예선의 2팀은 홈&어웨이 방식으로 최후의 1팀을 선정합니다.
티켓이 0.5장인 이유는, 여기서 승리한 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 때문입니다.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 단판 토너먼트 6강→4강
- 4강에서 승리한 2팀→북중미 월드컵 진출
산넘어 산입니다.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오세아니아 대륙에서 1팀씩, 그리고 북중미 대륙에서 2팀이 모여서 총 6개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룹니다.
플레이오프는 단판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플레이오프에 온 6개팀중 FIFA 랭킹 순위 상위 2팀은 4강에 직행하고, 나머지 4팀이 단판 승부를 펼쳐서 4강 진출팀을 선정합니다.
4강전도 단판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여기서 승리한 두팀이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진출권 마지막 2장을 갖게 됩니다.
플레이오프 경기는 대회 운영 테스트를 위해 실제 북중미 월드컵이 열리는 경기장에서 펼쳐 집니다.
각 대륙별 월드컵 본선 진출 국가 수
Q: 2026년 북중미 월드컵의 대륙별 본선 진출 국가는 몇개국씩 일까요 ?
A: 총 48개 국가가 참여하면서, 대륙별로 조금씩 참가 국가가 다 늘어났습니다.
유럽은 기존 13개국→16개국으로 늘었고요. 아프리카는 5개국→9개국으로, 아시아는 5개국→8개국으로, 남미는 4개국→6개국으로, 북중미 3개국→6개국으로 증가했습니다. 플레이오프를 통해 진출하는 국가수는 기존과 같이 2개국입니다.
정리하면, 아프리카가 4장으로 제일 많이 늘었고, 유럽, 아시아, 북중미가 각각 3장씩, 남미 2장, 오세아니아 1장이 증가했습니다.
- 유럽:16개국
- 아프리카: 9개국
- 아시아: 8개국
- 북중미:6개국 (개최국 3개국 포함)
- 남미:6개국
- 오세아니아:1개국
- 플레이오프: 2개국
2026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축구경기일정
대한민국은 2026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으로 직행했고, 조편성 결과 C조에서 태국, 중국, 싱가폴과 함께 조별리그를 진행중에 있으며 현재 조1위 입니다.
2차 예선은 조 2위까지 다음 라운드로 진출 합니다. C조 국가들을 보면, 싱가폴은 1차 예선도 치루고 올라온 팀이고, 우리나라 대표팀이 태국 중국 축구 대표팀 보다는 개인 기량면에서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이번 라운드는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아시아 2차 예선 기간 축구경기일정 입니다.
- 1경기: 2023년 11월 16일, 대한민국 5 vs 0 싱가폴
- 2경기: 2023년 11월 21일, 중국 0 vs 3 대한민국
- 3경기: 2024년 03월 21일, 대한민국 1 vs 1 태국
- 4경기: 2024년 03월 26일, 태국 0 vs 3 대한민국
- 5경기: 2024년 06월 06일, 싱가폴 vs 대한민국
- 6경기: 2024년 06월 24일, 대한민국 vs 중국
한국 태국 축구 중계
이번 태국과의 2연전은 TV조선 및 쿠팡플레이를 통해 생중계 될 예정입니다.
- 3월 21일, 대한민국 1 vs 1 태국 (서울 월드컵 경기장)
- 3월 26일, 태국 0 vs 3 대한민국 (방콕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
TV 중계 사이트
- TV 조선
- 쿠팡플레이
월드컵 예선 태국전 중요한 이유
Q: 2차 예선 통과는 쉬울 것 같네요. 그럼에도 태국과의 2연전이 중요하다고 하던데 그 이유가 뭔가요 ?
A: 오는 3월 21일과 26일 펼쳐지는 태국과의 2연전이 중요한 이유는 피파랭킹 때문입니다. 3차예선의 조편성때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면 피파랭킹 기준 AFC 소속팀중 3위 안에 들어야 하거든요.
Q: 피파랭킹 기준으로 대한민국팀이 아시아 4위가 될 수도 있나요 ?
A: 2024년 3월 12일, AFC 소속 피파랭킹 순위를 보면 호주와 대한민국이 딱 1계단 차이죠.
만일 대한민국이 2차 예선을 치루면서 비기거나 지는 경기가 연달아 나오는데 반해, 호주가 모든 경기를 승리하는 경우라면 FIFA 랭킹이 뒤집히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시안컵을 보셔서 아시겠지만, FIFA 랭킹 50위권 밖의 팀들이 대한민국을 상대할 때에는 수비를 내리고 움츠렸다가 빠른 속도로 역습을 하는 전술을 쓰게 되는데, 이런 전술을 쓰는 팀을 상대로 현재의 대한민국 대표팀은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시안컵 기간동안 보여준 태국 축구 실력 향상도 걱정이 되는 부분 이네요. 동아시아 국가중에 가장 높은 위치까지 올라갔었고요. 중국과 다르게 태국 축구는 전술적 완성도가 꽤 높은 축구를 보여줬기 때문에 살짝 걱정되기도 합니다.
3월 21일, 한국은 태국과 1-1로 비겼고, 호주는 레바논에 2-0으로 승리했습니다.
3월 26일, 한국은 태국에 3-0으로 승리했고, 호주는 레바논에 5-0으로 승리했습니다.
Q: 피파랭킹이 낮아지면, 3차 예선 조편성 때 어떤점이 불리한가요 ?
A: 3차 예선에 진출한 18개팀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는데, 이를 피파랭킹 순위 기준 나눠서 추첨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만일 한국이 FIFA 랭킹에서 호주에 밀린다면,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일본과 같은 조가 될 수도 있는 겁니다. 이러면 안정적으로 1-2위를 하기 어렵겠죠 ? 이 때문에 조편성을 하는 시점에 상위 3개팀에 들어가느냐는 매우 중요한 변수입니다.
앞서 설명드렸지만,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는 각 조별로 1-2위 팀만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3-4위팀은 다시 4차 예선으로 가야 합니다.
만약 3차 예선에서 본선 진출 확정을 못해서, 4차 예선으로 간다면, 홈&어웨이 형식의 단기전의 성격상 승리를 장담할 수 없게 됩니다.
자칫 5차 예선을 거쳐서 대륙간 플레이오프까지 치뤄야 한다면, 아무리 월드컵 본선 진출권이 크게 늘었다지만, 본선 진출을 장담할 수 없는 상태를 직면할 수도 있습니다.
태국과의 2연전이 열쇠
우리대표팀은 AFC 카타르 아시안컵때 클린스만 감독의 <해줘전술>로 공식 경기 기준 무승부와 패하는 경기를 많이 하는 바람에, 호주와의 피파랭킹 격차를 벌리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다가오는 태국과의 2연전이, 3차 예선에서 유리한 조편성을 갖느냐에 대한 중요 열쇠입니다.
태국전을 이긴다면, 앞으로 있을 월드컵 아시아 예선 여정 동안 월드컵 본선에서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준비를 미리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번외이긴 하지만, 임시 감독으로 올림픽 대표팀과 성인 국가 대표팀을 겸임했던 황선홍 감독님이 태국2연전을 잘 치뤄서, 오는 4월 파리 올림픽 예선으로 치뤄지는 U-23 아시안컵 대회에 오롯히 집중할 수 있도록 좋은 결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그럼, 다음에 또 다른 컨텐츠로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