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브레이커-축구 조별리그 승점 같을때, 기준이 되는 룰

타이브레이커(Tie Breaker)는 조별 리그 이후 승점이 같을 때 기준점이 되는 룰을 말합니다.

‘타이브레이커’란 ?

축구 대회를 보면, 조별 리그를 먼저 하고, 여기서 상위 1-2 팀을 선발해서 토너먼트로 진행되는 방식을 많이 적용합니다. 대표적으로 FIFA 월드컵이 그렇고요, 최근의 AFC 아시안컵도 마찬가지이죠.

순위를 정할때에는 승점을 기준으로 정하는데요. 만일 승점이 같은 팀이 존재한다면 순위가 어떻게 정해질까요 ? 이 때 순위를 정하는 룰이 바로 타이브레이커 입니다.

피파 클럽 월드컵 2025 타이브레이커 룰

2025년 6월 개최될 예정인 피파 클럽 월드컵 (FIFA Club Worldcup 2025)타이브레이커 룰을 정리해 봤습니다. FIFA 에서 발간된 자료를 가지고 발췌했습니다. (원본보기)

총 3단계를 거치는데요.

1단계: 당사자 간 경기 기준 적용

a) 승자승: 해당 팀들끼리의 경기에서 가장 많은 승점
b) 득실차: 해당 팀들끼리의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c) 득점 수: 해당 팀들끼리의 경기에서 가장 많은 득점

이 3가지를 적용했음에도 순위가 여전히 같다면,
남은 동률 팀들끼리만 위 a)~c)를 다시 적용하여 재검토 합니다.

2단계: 전체 조별 경기 기준 적용

위 절차로도 결정이 안 되면, 전체 조별 경기 기준으로 아래 항목을 적용 합니다.

d) 전체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e) 전체 경기에서의 총 득점 수
f) 페어플레이 점수 (경고 및 퇴장 기준으로 감점, 감점이 가장 적은 팀이 유리)

  • 경고: -1점
  •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간접 퇴장): -3점
  • 직접 퇴장: -4점
  • 경고 + 직접 퇴장: -5점

※ 한 경기에서 한 선수나 팀 관계자에게는 가장 큰 감점 한 가지만 적용

3단계: 무작위 추첨

g) 위 모든 기준으로도 결정이 나지 않으면, **FIFA가 추첨(drawing of lots)**을 통해 순위 결정

U23 AFC 아시안컵 2024 타이브레이커 룰 사례

타이브레이커
지난 2024년 4월 21일 U23 AFC 아시안컵 2024 에서 대한민국은 일본과 조별리그 3차전 경기만을 앞두고 있었는데요. 두팀의 승점은 6점으로 같았습니다.
마지막 경기인 일본과의 경기에서 승리하는 팀이 조 1위가 확정되겠지만, 두 팀이 비긴다면 어떻게 되는 걸까요 ? 이 때 순위를 정하는 룰이 바로 타이브레이커 입니다.

팀명 경기수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대한민국 2 2 0 0 3 0 3 6
일본 2 2 0 0 3 0 3 6
UAE 2 0 0 2 0 3 -3 0
중국 2 0 0 2 0 3 -3 0

 

AFC 주관 대회의 타이브레이커(Tie Breaker) 는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1. 승자승
  2. 골득실
  3. 다득점
  4. 승부차기
  5. 페어플레이
  6. 제비뽑기

한국과 일본 경기가 만일 무승부로 끝나게 된다면, 승자승-골득실-다득점에서 모두 동률이기 때문에 승부차기를 진행하게 됩니다.

1. 승자승

승점이 같은 두 팀간의 경기에서 이긴 팀이 앞서게 됩니다. 한국과 일본은 마지막 경기이므로, 두 경기를 비기게 되는 경우는 다음 룰로 넘어가게 되요.

2. 골득실

승점이 같고, 두 팀간 서로 비긴 경우에는 골득실을 우선적으로 따지게 됩니다. 현재 한국과 일본은 골득실이 모두 +3점으로 같으므로 다음 룰로 넘어가게 되요.

3. 다득점

승점이 같고, 두 팀간 서로 비겼으며, 골득실 까지 같은 경우는 다득점팀이 앞서게 됩니다. 공교롭게도 한국과 일본은 다득점까지 모두 3점으로 같습니다. 따라서 다음 룰로 넘어갑니다.

4. 승부차기

승점이 같고, 두 팀간 서로 비겼으며, 골득실까지 같을 뿐만 아니라, 다득점도 같으면 어떻게 될까요 ? 이 경우, 두 팀은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를 겨루게 됩니다.

5. 페어플레이

승부차기로도 결정이 되지 않으면, 페어플레이 점수로 결정이 됩니다. 옐로 카드 1점, 옐로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다이렉트 퇴장 3점, 옐로 카드 후 다이렉트 퇴장 4점을 기준으로 해서, 점수가 적은 팀이 앞서게 됩니다.

6. 제비뽑기

여기까지도 동률이면, 제비뽑기로 앞서는 팀을 결정하게 됩니다.

타이브레이커 또 다른 사례들

타이브레이커 룰은 대회마다 다릅니다. AFC 주관 대회에서는 승자승-골득실-다득점-승부차기-페어플레이-제비뽑기로 이어지지만, FIFA 주관 대회인 월드컵에서는 골득실-다득점-승자승-페어플레이-제비뽑기 순입니다.

이런 타이브레이커 룰이 실제 적용된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일본 16강 진출

러시아 월드컵 조별예선에서 일본은 1승 1무 1패 승점 4점으로 세네갈과 골득실-다득점-승자승까지 같았지만 페어플레이에서 앞서서 16강 진출을 한적이 있습니다.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일본이 16강에 진출한 이유는 조별리그에서 “페어 플레이 점수(Fair Play Points)”가 적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페어 플레이 점수가 16강 진출 팀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사례였어요.

조별리그 상황

일본은 H조에 속해 있었고, 콜롬비아, 세네갈, 폴란드와 조별리그를 치뤘습니다.

경기 결과

  • 일본 vs 콜롬비아: 일본이 2-1로 승리
  • 일본 vs 세네갈: 2-2 무승부
  • 일본 vs 폴란드: 일본이 0-1로 패배

조별리그 최종 순위

H조에서 일본과 세네갈은 승점, 골득실차, 득점까지 모두 같은 동일한 기록으로 조별리그를 마감했습니다.

  • 승점: 4점
  • 골득실차: 0
  • 득점: 4골

페어 플레이 점수 적용

타이브레이커 룰에 따르면, 해당 대회에서는 승점, 골득실차, 득점이 모두 동일할 경우 페어 플레이 점수를 통해 순위를 결정해야 했습니다. 페어 플레이 점수는 경고와 퇴장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옐로 카드: -1점
  • 간접 레드 카드(두 번째 옐로 카드로 인한 퇴장): -3점
  • 직접 레드 카드: -4점
  • 옐로 카드 후 직접 레드 카드: -5점

페어 플레이 점수 비교

  • 일본: 조별리그에서 4장의 옐로 카드를 받음 (페어 플레이 점수: -4점)
  • 세네갈: 조별리그에서 6장의 옐로 카드를 받음 (페어 플레이 점수: -6점)

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페어 플레이 점수에서 일본이 세네갈보다 더 적은 경고를 받았기 때문에 일본이 세네갈을 제치고 16강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2000년 북중미 대륙 골드컵 대한민국 8강 탈락

타이브레이커 룰이 적용되었던 또 다른 사례는 2000년 미국에서 열린 골드컵에 초대되어 참가했던 대한민국 대표팀이 겪은 일입니다. 당시 캐나다와 승점, 골득실, 다득점까지 모두 똑같아서, 동전 던지기(coin toss)를 통해 8강 진출국을 가려야 했는데요. 허정무 감독이 추첨에 참가해서 아쉽게 탈락의 고배를 마신적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볼께요.

대회 개요

2000년 북중미 골드컵(CONCACAF Gold Cup)은 북중미 축구 연맹(CONCACAF) 주관으로 열린 대회로, 대한민국은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했습니다.

이 대회는 12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각 조에서 3팀씩 경기를 치렀는데요. 각 조의 상위 두 팀이 8강에 진출하는 형식이었습니다.

조별리그 D조

대한민국은 D조에 속해 캐나다와 코스타리카와 경기를 치렀습니다.

경기 결과

  • 대한민국 vs 캐나다: 0-0 무승부
  • 대한민국 vs 코스타리카: 2-2 무승부 (이동국과 이민성의 골)
  • 캐나다 vs 코스타리카: 2-2 무승부

동률 상황

조별리그가 종료된 후, 대한민국, 캐나다, 코스타리카 세 팀 모두 승점 2점, 골득실차, 득점 등이 동일했습니다. CONCACAF 의 타이브레이커 룰 규정에 따르면 페어 플레이 점수까지 같은 경우는 동전 던지기(coin toss)로 순위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 동전 던지기에서 캐나다가 승리하면서 8강에 진출했고, 대한민국과 코스타리카는 탈락하게 되었습니다.

8강 경기 및 이후

캐나다는 8강에서 멕시코를 골든골로 2-1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결국 결승전에서 콜롬비아를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동전던지기로 올라간 팀이 우승을 하다니, 더욱 더 아쉬운 결과이지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에 또 다른 컨텐츠로 뵐게요~

error: 복제 금지 입니다.
Share via
Copy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