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배당금, 컨콜 분석(25년 1분기 실적)

LG전자 배당금 지급 정책은 2024년부터 변경되어, 연2회 반기배당 정책으로 운영 중입니다. 24년에 발표된 주주환원책(밸류업)에 따라, 3년간 (2024년~2026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 (일회성 비경상 이익 제외,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기준)의 25% 이상, 보통주 1주당 연간 최소 1,000원 이상 금액의 주주 환원 예정입니다.

LG전자 배당금

LG전자 배당금 지급 현황(2022년-2024년)

제23기 정기주주총회 통해 확정된 2024년 LG전자 결산 배당금 금액은 보통주 1주당 500원, 우선주 1주당 550원으로 `24년 8월 지급된 반기 배당을 포함한 연간 총 배당금은 보통주 1주당 1,000원, 우선주 1주당 1,050원이였습니다.

아래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2022년부터 LG전자 배당금 지급액은 우상향 중입니다.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주당현금배당금 보통주 700원 800원 1,000원
우선주 750원 850원 1,050원
배당성향 보통주/우선주 공통 10.6% 20.3% 49.2%
시가배당률 보통주 0.8% 0.8% 1.2%
우선주 1.7% 1.8% 2.6%

LG전자 배당금 지급일 (2025년)

2025년 1월 22일 공시에 따르면, LG전자 배당금 지급을 위한 주주명부폐쇄 기준일은 2025년 3월 31일 입니다.

LG전자 배당금 지급일자는 아직 미정이고요. 상법 제464조의2에 의거, 주주총회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지급 예정입니다.

LG전자 컨콜 분석(25년 1분기 실적)

LG전자는 25년 1분기 최대 규모의 실적으로 다시 한번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보여줬는데요. 견조한 실적은 호재이지만, 상호관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제품군으로 비즈니스를 하는 만큼, 실적보다는 상호관세 협상 결과가 주가 움직임에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각 부문별 실적 내용을 살펴보고, 궁금한게 많았던 컨콜 질의응답 전문을 정리해 봤습니다. (LG전자 실적발표 컨퍼런스 원문보기)

LG전자 부문별 실적(25년 1분기)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22.7조원, 영업이익은 1조 2,59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통상 정책 변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전기차를 포함한 차량수요 회복 지연, 업체간 경쟁 심화 등 어려운 경영 환경에서도 B2B / 구독 / webOS 플랫폼 등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성과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매출 성장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 인상적이에요.

영업이익은 미국 관세 리스크 대응을 위한 비용 증가와 경쟁 심화, 환율 변동 등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매출 성장 효과와 B2B 사업의 수익 기여 확대, 원가 및 비용 절감 노력을 통해 안정적인 영업이익 확보 했고요.

특히, HS, VS, ES 사업본부는 사상 최대 분기 매출액 달성, 이 중 VS 및 ES 사업본부는 영업이익 또한 역대 최대 수준 기록 했습니다.

LG전자 HS사업부 분기 실적 (25년 1분기)

LG전자 부문별 전망 HS(25년 1분기)

LG전자 HS사업부 주요제품은 LG Dios 무드업냉장고, 워시타워, 더블 오븐 등입니다.

HS사업부 1분기 매출은 글로벌 가전 시장은 미국 관세 정책 변화 영향 및 지정학적 이슈 지속 등으로 경기 회복 지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별 신모델 출시, 볼륨존 공략 강화 등 기존 사업의 실행력 강화와 온라인 / 구독 확대 적극 대응을 통해 역대 분기 기준 최대 매출 달성 하였습니다.

손익은 물류비 등 비용 부담은 지속되고 있으나, 매출 성장 효과와 원가 개선 활동 그리고 효율적인 경쟁 비용 투입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개선하였고, 특히 영업이익률은 9.6%로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LS전자 MS사업부 분기 실적(25년 1분기)

LG전자 부문별 전망 MS(25년 1분기)

LG전자 MS사업부 주요 제품은 LG시그니쳐올레드TV, LG그램 PC, LED 사이니지, LG엑스붐 오디오 제품등 입니다.

MS사업부 1분기 매출은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하며 전분기 대비 축소 되었습니다. 이는 webOS 플랫폼 사업의 견조한 성장에도 불구, 소비심리 둔화에 따른 Hardware 매출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역신장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손익은 비용 효율화 활동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소폭 개선되었으나, LCD 패널가격 상승 등 원가상승 요인 지속과 시장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자원 투입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 하였습니다. TV 영업이익률 0.1%이니, TV 장사 하기 참으로 힘듭니다.

LG전자 VS사업부 분기 실적 (25년 1분기)

LG전자 부문별 전망 VS(25년 1분기)

LG전자 VS사업부 주요 제품은 인포테인먼트 (Head Unit, Telematics, Automative Display), 전기차 부품 (모터, 인버터), 안전 및 편의장치(차량용 램프, Automotive Vision System)등 입니다.

VS사업부 1분기 매출은 유럽 OEM 고객사 판매 및 안정적인 수주잔고 기반의 매출 증가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수준 매출 달성하며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성장세 유지 하였습니다.

손익은 매출 증가 및 제품 Mix 개선 영향으로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 확보하며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개선 되었습니다.

VS 사업부 영업이익률 4.4%는 역대 최고 수준 입니다.

LG전자 ES사업부 분기 실적 (25년 1분기)

LG전자 부문별 전망 ES(25년 1분기)

LG전자 VS사업부 주요 제품은 스탠드 벽걸이형 에어컨, 공기청소기 및 가습기, 멀티V, 칠러 등이 있습니다.

VS사업부 1분기 매출은 벽걸이 제품의 가격 커버리지 확장을 통해 아시아, 인도, 중남미 등 해외 신흥시장 중심 매출 확대 되었습니다. 한국 시장 가정용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 신모델 출시에 따른 판매 호조에 힘입어 분기 최대 실적 달성 하였습니다.

손익은 원재료비 인상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등 고정비 증가로 손익 악화 요인이 있었으나,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 성장 효과에 힘입어 역대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개선 되었습니다. 손익률 13.3% 또한 역대 최고 기록 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에 또 다른 컨텐츠로 뵐게요

error: 복제 금지 입니다.
Share via
Copy link